원스텝뉴스 이병희 기자 | 경기도 화성시 서부에 위치한 화옹지구가 천혜의 자연 생태계 보존과 대규모 개발 압력 사이에서 깊은 딜레마에 빠졌다. 특히 국방부가 추진하는 수원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환경적 가치와 개발 요구가 정면으로 충돌하며 수년째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국제적 중요성 지닌 '생명의 보고' 화옹지구 화옹지구는 넓게 펼쳐진 갯벌과 습지를 자랑하는 서해안의 대표적인 생태 보고다. 특히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EAAF)의 핵심 중간 기착지로, 멸종 위기종을 포함한 수많은 철새들이 서식하거나 머물다 가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자연 자산이다.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은 화옹지구의 생태적 가치를 강조하며, 대규모 개발은 돌이킬 수 없는 환경 파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강력히 우려하고 있다. 수원 군 공항 이전 후보지… 개발 압력 직면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화옹지구는 국방부에 의해 수원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강력한 개발 압력에 직면했다. 수원 군 공항 이전은 소음 피해와 고도 제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수원시의 숙원 사업이자 국가 안보 시설 재배치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만약 군 공항 이전이 현실
원스텝뉴스 이병희 기자 | 매향리 971에 위치한 매향항 뒤편에는 1,880만평 규모의 화성습지가 펼쳐져 있다. 이곳 화성습지는 화성시에서 자라고 있는 미래세대, 우리의 아이들을 위해서 꼭 남겨둬야 할 땅이다. 화성습지는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수원청개구리’가 살고 있고, 저어새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천연기념물인 검은머리 물떼새 등 철새 106종 11만 4천696개체가 찾아오는 곳이다. 또한 게, 성게, 소라 등 대형저서동물 160여 종이 서식하고 갈대 등 염생식물과 다양한 수생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질오염을 정화해 주는 블루카본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세력들이 자본과 경제논리를 앞세워 “수원군공항을 화옹지구로 이전해야 한다” “경기남부 통합국제공항을 화옹지구에 유치해야 한다” “민군통합국제공항을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건설해야 한다” 등 다양한 주장을 해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 수원시에 지역구를 둔 김진표 국회의장은 수원시와 화성시에 걸쳐 있는 제10전투비행단을 화성시 화옹지구로 이전하고 해당 부지에 ‘K실리콘밸리’를 조성해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