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경기

[기획] 수원군공항 이전 문제, '환경'과 '발전'이라는 딜레마에 갇힌 화성시

- 반도체 클러스터 시너지, 공항경제권의 허와 실
- 소음 피해의 전가, 지속 가능한 발전의 걸림돌인가

원스텝뉴스 이병희 기자 |

 

 

수원 군공항 이전 문제를 둘러싼 화성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오랜 논쟁의 중심에 선 이 사안은 단순히 군사 시설의 이전을 넘어, 환경 보전이라는 소중한 가치와 지역 발전이라는 절박한 과제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딜레마를 낳고 있다.

 

화성시민들은 미래를 위해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할지 기로에 서 있으며, 이에 대한 지역 사회의 갈등은 점점 더 첨예해지는 양상이다.

 

장밋빛 미래의 이면, 환경 파괴의 그림자

 

수원 군공항의 화성 이전을 주장하는 측은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내세우고 있다. 군공항 이전은 단순히 군사 시설의 이동을 넘어, 이전 부지와 주변 지역의 개발을 동반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특히, 수원시는 화옹지구에 '민·군 통합국제공항' 건설을 제안하며, 첨단산업 중심의 공항경제권 구축을 통해 경기 남부 반도체 클러스터와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수원시가 예상한 생산 유발 8조 4천억 원, 부가가치 유발 3조 1천억 원, 그리고 6만 4천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는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적인 전망의 이면에는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화성시의 입장은 분명하다. 경제적 이익에 앞서 시민의 삶의 터전과 소중한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군공항 이전 반대의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바로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다. 화옹지구는 전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철새 도래지이자 생태적으로 보전 가치가 높은 갯벌 습지다. 군용기 소음, 진동, 그리고 대기 오염은 이 아름다운 자연 생태계를 파괴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시민의 삶을 위한 선택, 화성시의 확고한 입장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는 단순한 환경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기존 수원 군공항 주변 주민들이 겪어온 소음 피해와 재산권, 학습권 침해 등의 문제가 화성 서부권 주민들에게 그대로 전가될 것이라는 현실적인 우려가 크다. 매년 130억 원 이상 발생하는 소음 보상 비용은 군공항 이전이 경제적 이익만을 가져오는 사업이 아님을 방증한다.

 

화성시민들은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소중한 자산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고 믿고 있다.

 

갈등 해결의 열쇠, 정부의 역할이 중요

 

수원시와 화성시 간의 갈등은 오랜 기간 이어져 왔다. 특히 지방선거나 총선과 같은 주요 선거 때마다 군공항 이전 문제가 반복되면서 지역 내 갈등을 심화시키는 양상이다. 수원시가 군공항 이전 논의를 위해 구성한 태스크포스(TF)에 화성시와 시민단체가 배제된 사례는 절차적 정당성 논란까지 야기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 합리적인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중앙 정부와 국방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지자체 간 협의'에만 맡겨두기에는 문제가 너무 복잡하고 첨예하다는 것이다. 군공항 이전 사업의 공론화를 통해 양측의 입장을 충분히 듣고, 환경과 발전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화성시는 군공항 이전 문제를 시민의 안전과 환경 보전이라는 원칙 아래 철저히 검증하고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경제적 이익에 앞서 시민들의 삶을 지키려는 화성시의 노력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교육

더보기

정치

더보기